http://www.korass.or.kr/include/board/board_view.php?board_id=NEWS&page=1&board_seq=2068 경기도 10개년 중장기 도시철도 마스터플랜 확정 - 광역교통개선대책 반영노선 4개, 시군계획노선 5개 등 총 9개 노선 136.1㎞ 추진예정 - - 경기도 철도 수송분담률 2009년 8.9% → 2020년 17.1% 약 2배 증가 전망 -
경기도는 오는 2020년까지 9개 노선, 총 136.1㎞ 길이의 철도 건설을 위한 청사진을 마련했다. 경기도는 도가 수립한 ‘경기도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’이 17일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확정 고시됐다고 밝혔다. 광역 道 단위에서 중장기 도시철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, 이를 승인받은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. 기본계획에 포함된 노선은 9개 노선, 136.1km으로 5조 8,573억 원이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. 9개 노선은 광역교통개선대책이 확정된 광명시흥선(천왕/개봉~KTX광명역), 동탄1호선(광교~동탄~오산역), 동탄2호선(병점~동탄), 파주선(운정신도시~킨텍스) 등 4개 노선과 시․군에서 구상 중인 성남1호선(판교~성남산업단지), 성남2호선(판교~정자), 수원1호선(수원역~장안구청), 평택안성선(서정리역~안성터미널), 용인선연장(기흥~광교) 등 5개 노선이다. 도는 광역교통개선대책이 확정된 4개 노선의 경우 관련기관 협의 후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하는 등 우선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며, 시․군에서 구상 중인 5개 노선은 해당 지자체와 협의 후 사업 추진 시기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. 경기도는 이번 10개년 도시철도기본계획 노선과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노선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2009년 8.9%에 불과한 철도 수송분담률이 2020년에는 17.1%로 약 2배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. 서상교 경기도 철도물류국장은 “경기도가 직접 수립한 중장기 도시철도 기본계획인 만큼 경제적 타당성과 네트워크 연계성, 지역균형발전, 정책 일관성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했다.”라며 “시․군에서 무분별하게 추진했던 도시철도사업을 도 차원에서 통합해 관리 감독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.”라고 말했다.
2013년 7월 21일 한국철도협회 최진영
| |||
---|---|---|---|
'철도건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강남구, 내부순환 도시철도시대 개막! (0) | 2013.08.09 |
---|---|
철도시설공단, 캘리포니아 고속철도건설사업 현지지사 설립 (0) | 2013.07.22 |
다시 기차다 <상> 선진국은 지금 철도 르네상스 (0) | 2013.07.19 |
그래픽> 수도권 광역급행철도(GTX) 성남·용인권 역사 확정 본문 (0) | 2013.07.19 |
[수도권]신도시들 '거미줄' 연결…136km 도시철도 깔린다 (0) | 2013.07.18 |